내 컴퓨터를 외부에서 켤 수 있다면 정말 편할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 (스마트 플러그, WOL..) 이 있지만 Wake on Lan은 집의 공유기를 활용하여 간편하게 이용가능한 기능이다.
자세하게 들어가면 " 외부환경 신호 -> 공유기 -> 매직패킷 송신 -> 이더넷 반응 -> 전원 Switch ON'" 이런 절차로 진행된다. 매직 패킷이란 6바이트의 0xFF(256) 뒤에 48비트(6바이트)로 이루어진 랜카드의 MAC 주소가 16번 반복되어 나오는 신호이다. 뭐 위 패킷은 공유기에서 뿌려주기 때문에 신경쓸 필요는 없다.
다만 개발자라면 간단하게 TCP/UDP Lan Signal로 컴퓨터를 키는 프로그램을 만들수도 있다. (정말 간단함) 기회가 되면 제작한 프로그램도 소개하겠다.
본격적으로 공유기(Iptime)을 활용한 WOL을 시작하기 전에 DDNS설정과 원격관리 포트를 설정하고 오면 활용하기에 편할 것이다. 아래 게시물을 참고하자.
[iptime] 공유기 DDNS 설정하는 방법
일단 아래 게시글에서 유입된 인원이 많다고 생각하며 참조로 걸어놓는다.https://hwanlog.tistory.com/6 원격 데스크톱 설정하는 방법평소 회사나 학교 등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환경이 많다. 다만
hwanlog.tistory.com
1. 바이오스 설정
컴퓨터를 시작할때 delete키를 연타하여 바이오스로 들어가 준다.
고급설정으로 바꾸어주고 'Power on By PCI-E' 설정을 Enabled로 바꾸어 준다.
(설정 위치는 메인보드마다 다를수 있다. -> 웹에 자신의 메인보드 모델을 치고 WOL ON 설정위치를 찾자)
2. 컴퓨터 환경설정
장치관리자를 들어가봅시다. "윈도우 작업표시줄 검색창 -> 장치관리자 입력"
"네트워크 어댑터 -> 속성 -> 고급 탭"으로 이동한다.
매직패킥과 관련된 설정을 모두 사용을 바꾸어 준다.
네트워크 어댑터 -> 속성 -> 전원관리 탭 "이 장치를 사용하여 컴퓨터의 대기 모드를 종료할 수 있음", "매직 패킷에서만 이 컴퓨터의 대기 모드를 종료할 수 있음"을 모두 체크해둡니다.
3. iptime WOL 설정
"사용자 로그인 > 관리도구 > 특수기능 > WOL 기능"으로 이동해준다.
이제 +아이콘을 눌러 켜고 싶은 컴퓨터의 MAC주소를 넣어준다.
MAC 주소는 명령프롬프트에 ipconfig -all 명령어를 치면 물리적 주소에 해당된다.
이제.. 컴퓨터를 킬수있는 세팅은 모두 완료 되었다. pc켜기를 누르면 pc가 켜질것이다.
다만! 외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기가 무엇인가. 바로 핸드폰이다. 핸드폰 앱을 통하여 WOL 기능을 동작 시켜보자.
1. iptime WOL 설치 및 실행
아래 아이콘의 앱을 설치 해준다.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공유기 수동추가를 눌러준다.
외부 네트워크 공유기를 눌러준후에 공간을 채워준다.
-공유기 이름: (사용자 정의)
-외부 IP 및 DDNS 주소: 게시글 초반에 DDNS 설정을 진행했다면 DDNS를 기입 / 없다면 공유기 IP 기입
-원격 접속 포트: 게시글 초반에 DDNS 설정에서 세팅한 원격접속포트
-공유기 Login ID: 공유기 ID
-공유기 암호: 공유기 PW
위 설정이 완료 되면 공유기 연결을 눌러준다.
메인화면으로 돌아가 아까 생성한 공유기 이름을 들어가주면 위와 같이 켤수 있는 컴퓨터가 나온다!(이는 이전 웹에서 MAC주소를 설정한 컴퓨터)
이렇게 WOL 설정을 마치며 궁금한 사항은 댓글로 작성 바란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time] 공유기 바꿀때 설정 유지하는 방법 (0) | 2025.04.07 |
---|---|
[iptime] 공유기 macvlan 설정하는 방법 (2) | 2025.03.17 |
[iptime] 공유기 DDNS 설정하는 방법 (0) | 2025.01.20 |
[iptime] 원격 데스크톱 설정하는 방법 (0) | 202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