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

(5)
[iptime] 공유기 바꿀때 설정 유지하는 방법 다들 인터넷을 사용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필요한것은 일단 집으로 들어오는 인터넷 회선과 이를 거치는 모뎀이 있을것이고(skt, kt...등) 그 하위에 공유기가 설치된다.  이 공유기가 이제 공인IP를 하위의 로컬 IP로 뿌려주는 역할을 하는데 필자는 Iptime을 사용하기 때문에 세팅해둔 설정이 정말 많다. DDNS나 고정 IP를위해 DHCP설정, 포트포워딩 등 많은 설정이 있는데 이를 공유기를 업그레이드 할때 다시 세팅한다는것을 정말 귀찮은 짓이다. 하지만!! 이를 해결하는 간단한 방법이 있다. Iptime에서 지원하는 백업 기능이다.   펌웨어에 따라 다 UI는 다를수 있지만 대부분 '시스템관리 - 기타설정 - 설정 백업 복구'가 위치해 있다.  먼저 공유기 백업 탭을 눌러 기존 설정들이 담긴 co..
[iptime] WOL(Wake on Lan) 설정 방법 내 컴퓨터를 외부에서 켤 수 있다면 정말 편할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 (스마트 플러그, WOL..)  이 있지만 Wake on Lan은 집의 공유기를 활용하여 간편하게 이용가능한 기능이다. 자세하게 들어가면 " 외부환경 신호 -> 공유기 -> 매직패킷 송신  -> 이더넷 반응 -> 전원 Switch ON'" 이런 절차로 진행된다. 매직 패킷이란 6바이트의 0xFF(256) 뒤에 48비트(6바이트)로 이루어진 랜카드의 MAC 주소가 16번 반복되어 나오는 신호이다. 뭐 위 패킷은 공유기에서 뿌려주기 때문에 신경쓸 필요는 없다. 다만 개발자라면 간단하게 TCP/UDP Lan Signal로 컴퓨터를 키는 프로그램을 만들수도 있다. (정말 간단함) 기회가 되면 제작한 프로그램도 소개하겠다. 본격적으..
[iptime] 공유기 macvlan 설정하는 방법 macvlan이라니 평소에 잘 들어보지 못한 개념일것이다. 이 기능을 한줄로 요약하자면 "Mac 주소를 통해 하나의 공유기에서 여러개의 공인 IP를 뿌릴 수 있는 기능"이다. 물론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공인 회선에 따라 개수의 한계는 있지만 경험상 5개 이상의 공인 IP를 연결 할 수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는 사람은 드물겠지만 네트워킹 작업을 주로 하는 사람이거나 Docker 서버를 활용하시는 분들에게는 유용 할 것 이다.  1. macvlan 설정 접근 먼저 로컬에서 Iptime을 접속한다. (웹창에 192.168.0.1 입력)로그인후 관리도구 접근한다.'NAT/라우터 관리 > WAN용 MACVLAN' 으로 접근한다.만약 해당 위치에 ' WAN용 MACVLAN'가 없다면 펌웨어 업데이트가 안되어있거나 ..
[iptime] 공유기 DDNS 설정하는 방법 일단 아래 게시글에서 유입된 인원이 많다고 생각하며 참조로 걸어놓는다.https://hwanlog.tistory.com/6 원격 데스크톱 설정하는 방법평소 회사나 학교 등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환경이 많다. 다만 사용하는 본체가 달라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개발 IDE 설치를 매번 한다는건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이 바hwanlog.tistory.com일단 DDNS란 무엇인가? '사람이 읽을수있는 이름(도메인) -> IP주소체계 = DNS' 이다.그럼 앞에 'D(Dynamic)'가 붙은 DDNS는 무엇일까 이는 DNS의 역으로 '  IP주소체계 -> 사람이 읽을수있는 이름(도메인)= DDNS' 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를 사용하는 사람은 웹사이트에 접근하는 방식을 도메인으로 하고싶은 사..
[iptime] 원격 데스크톱 설정하는 방법 평소 회사나 학교 등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환경이 많다. 다만 사용하는 본체가 달라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개발 IDE 설치를 매번 한다는건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이 바로! 원격 데스크톱이다. 윈도우(꼭 Windows Pro 버전이어야 합니다.)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기능이며 정말 유용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지 않는 기능이다. 이에 대해서 설정하는 방법과 더 간단하게 DDNS를 활용하여 도메인을 치고 들어갈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겠다.(필자는 iptime 공유기를 사용하기에 이를 기준으로 설명함) - 원격데스크톱 기능 활성화 1. Window + I 단축키로 설정 열기2. 시스템 클릭  3.  원격 데스트톱 탭 클릭 위 단계까지 진행 한 후 원격 데스크톱 토글 버튼을 클릭하여 ..